QSL CARD

2006. 11. 29. 17:06무선사가 되려면

 

교신을 하고나면 서로간 교신에 응해줘서 고맙다는 증표로, 자기 나름대로 만든 QSL 카드를 보내고 받고 하는 것이 HAM의 예의에 속한다.

QSL 카드의 크기는 우편엽서와 같은 크기로 하는 것이 좋으며 DESIGN은 개인의 독특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거나 자기 나라를 소개하는 풍속이나 풍물 등을 인쇄하기도 한다. QSL 카드를 수집하는 것은 아마추어 무선의 또다른 재미이며, 세계의 풍물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QSL 카드는 AWARD 신청시나 먼 훗날의 증거로 남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이 들어가야 하며 되도록 칸을 채우는 것이 좋겠다.

  1. 나의 호출부호 : 카드 앞면에 크게 표시하며, 가족국(단체국)에서는 OP의 이름을 전부 넣는 것이 좋다.
  2. 이름 : 로마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색을 살리기 위해서는 한글, 한자 등도 많이 넣는다.
  3. 주소 : 우편번호, 전화번호까지 넣는 것이 좋다.
  4. 상대방의 호출부호 : 지우거나 줄을 긋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
  5. 교신일시 : 월은 JAN, FEB 등으로 기입하고, 시각은 KST 였으면 KST를 꼭 붙여주고, 될 수 있는 대로 UTC를 써넣는다.
  6. 주파수 : 사용했던 주파수를 7060KHz나 40m와 같이 써 넣는다.
  7. AM, SSB, CW, FM, RTTY, FAX, SSTV 등으로 기록하며, 양쪽이 같은 MODE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2 WAY SSB라든가 2XSSB라고 적는다.
  8. R.S.T. : 명료도 1에서 5번까지, 강도 S는 1에서 9번까지, CW 교신시는 TONE의 1~9번 사이를 적어 넣는다.
  9. 사용하는 RIG, ANT : 사용하는 무선기, 안테나 형명 등을 적어 넣는다.
  10. 서명 : 빈칸에 적당한 인사말이나, 하고 싶은 말을 써넣고, 자필 서명 혹은 도장 등을 찍는다.
    자료출처: DS3KUL님 홈피

'무선사가 되려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파수별 특성  (0) 2006.11.29
BAND PLAN  (0) 2006.11.29
전파의 종류 및 아마추어 무선밴드,3급 전화급운용범위  (0) 2006.11.29
아마추어무선이란?  (0) 200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