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 기르기·화보/배양자료(45)
-
꽃대 관리와 색화 발색의 요령(6)
8. 꽃대 신장 및 피우기 전시회에 출품을 하기 위해서는 꽃대를 길게 신장시키고 꽃도 피워야 한다. 꽃대가 자라지 않아 화장토 바닥에 붙어 피거나 너무 자라 잎과의 균형이 깨지거나 꽃대가 힘 이 없어 옆으로 처지고 드러눕는다면 역시 관상가치가 많이 떨어진다. 그래서 꽃대를 적당히 그리고 튼튼..
2006.11.30 -
꽃대 관리와 색화 발색의 요령(5)
(4) 자화와 자홍화 자화는 홍색을 결정하는 화청소와 녹색을 결정하는 엽록소가 유전적으로 한데 뒤섞여 함께 발현된 꽃이다. 그래서 화청소가 위주인 홍화를 엽록소 차단을 못 해 발색에 실패하면 자화 비슷하게 피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그런데 자화를 결정하는 화청소와 엽록소 둘 다 햇빛을 받아..
2006.11.30 -
꽃대 관리와 색화 발색의 요령(4)
7. 색화별 발색법 중국춘란 고전명품, 한국춘란 및 일본춘란 소심, 기화, 복륜화, 산반화, 보세란 등은 화통을 씌우지 않고 가능한 한 저온에서 일반 난들과 똑같이 관리한다. 하란, 사계란, 추란소심, 풍란, 석곡 등은 화통은 물론 별도의 온도관리도 필요치 않다. 따라서 여기선 한국춘란 및 일본춘란..
2006.11.30 -
꽃대 관리와 색화 발색의 요령(3)
6. 화통의 만들기, 기능 및 사용법 화통의 재료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반투명하거나 일부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은 화통으로서는 부적격하다. 더러 일부 애란인들 중에 꽃대가 물크러지는 원인이 화통 때문에 공기가 통..
2006.11.30 -
꽃대 관리와 색화 발색의 요령(2)
4. 꽃대 관리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꽃대가 올라왔을 경우, 그 꽃대가 꽃이 피기 전까지 말라버리거나 물크러지지 않게, 또 춘란이나 한란의 경우 색깔을 내기 위해 일정한 조치를 취해 줘야 한다. 우선 난에게 있어서 꽃대는 생존의 우선순위에서 가장 나중에 속하는 부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2006.11.30 -
전시회 출품용 난 관리
1. 꽃대 손질 (1) 꽃대 올리기 전시회에 출품할 난은 꽃대를 적당한 높이로 신장시켜야 한다. 그러나 난이 전 시회에 맞춰 꽃대도 올리고 피어준다면 아무 문제도 없겠으나 불행히도 그렇지 가 못 하다. 그래서 강제로 꽃대를 신장시켜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흔히 목욕탕 욕조에 뜨거운 물을 받아..
2006.11.30